• 2023. 2. 26.

    by. 새우깽

    원작 그리고 흥행 성적

    일본 미스터리계의 거장 '시가 아키라'의 동명 베스트셀러 원작을 바탕으로 한 스릴러 영화로 2023년 넷플릭스를 통해 개봉했다. 원작은 출간 당시 압도적 몰입감과 반전으로 독자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으며 '지금까지의 모든 추리소설을 뒤집는 충격의 결말'이라는 극찬을 받기도 했다. 2023년 2월 넷플릭스에 개봉한 이 영화는 현재 로튼 토마토 신선도 71%, 관객 점수도 71%이고 다음 영화 평점은 6.4를 기록하고 있다. 개봉한 첫 주에는 전 세계 영화 2위 자리를 차지하기도 했고 현재 18개국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을 만큼 넷플릭스 내의 흥행성적은 좋은 편이다. 

     

     

    개인정보 유출을 다룬 서스펜스 스릴러

    평범한 회사원인 주인공 이나미(천우희)는 친구들과 밤늦게까지 놀고 귀가하던 중 스마트폰을 잃어버린다. 그리고 오준영(임시완)이라고 불리는 남성이 이 스마트폰을 주으면서 모든 사건이 시작된다. 다음 날, 나미의 잃어버린 폰으로 전화를 한 은주(나미의 친구)의 전화를 받은 준영. 하지만 그는 여성의 목소리로 변조해 은주의 전화를 받으며 자신이 스마트폰을 주웠다고 말한다. 그리고 핸드폰을 통해 알게 된 나미의 인스타그램 아이디를 검색해 그녀의 주소와 신상 그리고 친구들에 대한 내용을 노란색 메모지에 꼼꼼하게 기록해 나간다. 그렇게 준영이 여성인 줄 알고 있는 나미는 핸드폰 습득자와 나미의 아버지가 운영하는 카페에서 만나기로 한다. 

     

    한편 산에서 시체 한 구가 발견된다. 현장에 출동한 준영의 아버지 우지만(김희원)은 시체를 둘러싼 여러 증거품을 살펴보다 7년 전 가출한 아들 준영이 범인이라는 정황을 포착하게 된다. 

     

    한편 준영은 다시 여성으로 변조한 목소리를 이용해 나미에게 실수로 자신이 스마트폰 액정을 깨뜨려 수리를 맡겼다고 말하며 어느 수리센터에 가서 핸드폰을 찾아가라고 말한다. 사실 수리센터는 준영이 운영하고 있는 곳이고 그녀의 비밀번호를 알아내고 스파이웨어를 깔기 위한 함정이었다. 수리센터를 찾은 나미는 수리 동의서에 자신의 비밀번호를 적어 제출하게 되고, 준영은 액정을 말끔하게 수리함과 동시에 나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는 스파이웨어를 깔아 놓는다. 이제 나미의 핸드폰이 충전되어 있기만 하면 나미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할 수 있게 된 준영. 그는 나미가 핸드폰으로 찍은 사진, 인스타그램 비밀계정, 자주 가는 곳, 회사 상사 그리고 친구와 나누는 대화까지 모조리 기록하며 그녀를 사회적으로 매장시키고 목숨까지 앗을 계획을 차곡차곡 준비해 나간다.

     

    과연 나미는 준영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지만은 아들 준영의 범행을 멈추고 그를 체포할 수 있을까? 

     

     

    스마트폰 분실, 한번쯤 해보지 않으셨어요? 

    평범한 회사원이 자신의 모든 개인정보가 담긴 스마트폰을 분실한 뒤 일상 전체를 위협받게 되는 이야기라는 한 줄의 시놉시스에서 탄생한 영화다. 특히 원작 소설과 영화의 극 후반의 반전이 인상 깊은 영화인데 실제 동명 소설 원작의 결말과 한국에서 제작한 영화의 결말은 다르다고 한다(일본 원작에서는 여자 주인공에게서 반전이 있는데, 한국 영화에서는 준영과 준영의 아버지 지만에게서 반전이 있다). 개인적으로 일본 소설의 결말을 다른 블로그를 통해 읽어보았는데 영화화된 결말이 훨씬 스릴러물로써 더 적합하지 않았나 싶다. 영화 중간중간, 대체 이게 뭐지? 준영의 아버지인 형사 지만은 왜 저렇게 굼뜨게 행동하지 싶은 부분들이 있는데 결말에서도 왜 그가 그런 행동을 취했는지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 영화는 어쩌면 우리 주변에서 흔히 일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소재로 삼았다는 것에서 공포감이 더욱 배가되는 것 같다. 우리의 취향, 인간관계, 직업, 소비내역, 가는 것, 먹는 것, 입는 것 등 모든 것이 기록되어 있는 스마트폰을 잃어버렸을 때 그리고 그게 핸드폰 조작에 능숙한 누군가의 손에 들어갔을 때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끔찍한 일들을 영화화해서 더 무섭게 느껴졌다. 우리는 일상에서 한 번쯤은 핸드폰을 분실해 본 적이 있을 것이고 또 핸드폰에 모든 정보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 정말 이럴 수도 있겠구나, 이렇게 악용당할 수도 있겠구나. 그런 기분을 떨칠 수 없을 정도로 준영이라는 캐릭터가 연기하는 범인의 치밀함이 무섭게 느껴졌다. 이 영화를 보면서 개인정보 보안과 그 취약성에 대해서 다시금 생각할 수 있게 됐다.